건강에 도움이 될까 싶어서 과일주스를 매일 챙겨드시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과일 자체에 당이 함유되어 있어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면 건강에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00% 과일주스가 청소년은 물론 성인의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섭취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필수 비타민과 항산화물질, 폴리페놀 등 건강에 좋은 생과일 영양소를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어 과일주스를 마시고는 하는데, 100% 과일주스가 살찌는이유가 될 수 있다는 다소 충격적인 사실의 연구결과가 나온 것입니다.
캐나다 토론토대 바산티 말릭 교수팀은 17일 미국의학협회(AMA) 학술지 JAMA 소아과학(JAMA Pediatrics)에서 어린이 대상 연구 17건과 성인 대상 연구 25건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메타 분석에서 100% 과일주스 섭취와 어린이·성인 체중 증가 사이에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100% 과일주스는 일일 과일 권장량을 편리하게 충족할 수 있어 건강한 식생활 패턴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통과일에 비해 섬유질이 거의 또는 전혀 들어있지 않아 포만감이 낮고 열량이 높은 경우도 많아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연구팀은 100% 과일주스와 어린이·성인 체중 변화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어린이 4만5천85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17건과 성인 26만8천9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25건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 대상 연구에는 어린이 및 성인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100% 과일주스와 체중 변화의 연관성을 최소 6개월 이상 관찰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최소 2주 이상 과일주스와 열량이 없는 음료 섭취를 비교한 무작위 임상시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 분석에서는 100% 과일주스 섭취와 어린이 체중 증가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루에 100% 과일주스를 마시는 횟수가 한 번 늘어날 때마다 체질량지수(BMI)가 0.03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MI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정상 체중, 과체중, 비만 등 체중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 분석에서도 매일 100% 과일주스를 마시는 것이 체중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다. 성인의 체중 증가에는 주스에 포함된 열량이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그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임상시험 분석에서는 100% 과일주스 섭취와 체중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과체중과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100% 과일주스 섭취를 제한하라는 공중보건 지침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며 다만 주스 섭취량과 주스 종류에 따라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를 대상으로 더 정밀한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외에도 과일주스를 많이 마시면 사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하루 열량의 10% 이상을 과일주스를 포함한 가당 음료로 섭취한 사람은 5% 이하로 섭취한 사람보다 관상동맥성 심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4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당 음료를 마시면서 하루에 추가로 과일 주스를 약 340mL 더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조기 사망 위험이 24% 더 높았다고 합니다. 과일주스에 들어있는 과당이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복부 비만을 유발하는 호르몬을 자극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나치면 독이 되는 것처럼 100% 생과일 주스도 소량으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똑똑한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효식품 김치, 하루 세번 먹으면 복부비만 예방 효능이? (0) | 2024.02.01 |
---|---|
머리카락이 가늘어지는 이유 (+ 머리카락 관리법) (0) | 2024.01.29 |
혼잣말 하는 이유, 혼잣말 많이 하는 사람 '이것' 주의! (0) | 2024.01.23 |
요즘 인기 녹말 이쑤시개 튀김, 건강에 이상 없을까? (0) | 2024.01.22 |
밥 먹고 나면 졸린 이유, 식곤증 아니라고?! (0) | 2024.01.19 |